본문 바로가기
주식

PBR PER ROE 주린이가 알려주는 초간단 해석 (숫자 없음)

by 경제를 알자 2024. 2. 18.
반응형

ROE PER PBR
ROE, PER, PBR 간단설명

ROE, PER, PBR의 설명을 찾다 보면 값을 어떻게 구하는지 설명들을 많이 한다. 일단 숫자만 봐도 너무 어지러운 나는 글로써 간단하게 설명하려고 한다.

 

우리는 이 값들을 어떻게 구하는지가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이 값들을 보고 투자를 판단할 수 있는지 아닌지만 알면 된다고 생각한다.

 

어떻게 구하는지까지 알고 싶다면 다른 블로그들을 보면 나와있으니 참고해 보면 될 것입니다.

 

ROE

삼성전자의 ROE

 

돈을 얼마나 버는지에 대한 비율을 나타냅니다. 예시를 들어 1만 원을 자본으로 1천 원의 수익을 냈으면 ROE는 10%가 됩니다. ROE가 높으면 높을수록 수익을 많이 낸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반대로 ROE가 낮으면 기업의 실적이 좋지 않다는 것이 됩니다. 또는 기업이 속한 업종이 불황이라는 뜻이기도 합니다. 워런버핏도 투자할 때 제일 중요하게 생각하는 지표라고 합니다.

 

PER

PER
삼성전자의 PER

 

이익이 얼마큼 가치를 받느냐입니다. PER이 높다면 기댓값이 높은 걸 수도 고평가 됐을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반대로 낮다는 것은 기댓값이 낮은 걸 수도 있고 저평가 됐을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테슬라의 경우 이익에 비해서 시가총액(기댓값)이 높습니다. 고평가 됐을 수도 있고 기댓값이 높은 걸 수도 있습니다.

 

현대자동차의 경우는 이익은 높으나 시가총액(기댓값)이 낮습니다. 그렇다는 것은 저평가 됐을 수도 있고 기댓값이 낮다는 의미일 수 있습니다. 

 

PBR

PBR
삼성전자의 PBR

 

나의 자본이 시장에서는 얼마 큼의 가치를 받냐입니다. 나의 자본은 1,000이고 시가총액이 1,500이라고 한다면 PBR은 1.5배입니다. 즉 나의 자본을 시장에서는 1,500이라고 평가받는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