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

저평가 주식 찾는 4가지 방법! (왕초보에게 계산 없이)

by 경제를 알자 2024. 2. 25.
반응형

저평가 주식 찾아보기
저평가 주식 찾는 4가지 방법

계산 없이 저평가 주식 찾는 방법에 대해서만 설명드립니다. 

 

주식 종목 선정을 어떻게 해야 하는 걸까요? 차트를 보라는 사람도 PER을 보라는 사람도 있고 막상 찾아보면 계산식이 있어서 거부감이 듭니다.

 

계산은 투자자가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이미 계산이 다 되어서 네이버나 증권사에서 다 표기해 주니깐요.

 

여기서는 ROE, PER 등 항목들을 보는 이유와 방법에 대해서만 설명해 드립니다.

 

ROE(자기자본이익률)

ROE
ROE는 높을수록 좋다.

요약

ROE는 높을수록 좋다. 내가 투자한 돈으로 회사가 얼마나 벌고 있냐? ROE가 높다는 것은 내가 투자한 돈으로 이익을 높인다는 의미이고 낮다는 것은 투자한 돈에 비해 이익이 낮다는 것입니다.

예시

내가 투자한 돈이 10,000원인데 이익이 1,000원이면 ROE는 10이 됩니다. 500원이라면 ROE가 5가 되는 것이지요. 투자대비 이익이 높을수록 ROE가 높아지는 이유입니다.

결론

  • ROE가 타사에 비해 높다 = 기업의 가치가 타사에 비해 높다.
  • 향후 ROE 상승 = 기업가치와 주가 상승
  • 향후 ROE 하락 = 기업가치와 주가 하락 

EPS과 PER

EPS PER
EPS와 PER

요약

주식 가격이 높은지 낮은 지를 표기합니다. 적정주가를 표기합니다.

예시

EPS(1,000원) 곱하기 PER(10배) 라면 적정주가는 10,000원입니다.

결론

적정주가가 현재의 주가보다 높다면 고평가이고, 낮다면 저평가입니다.

EV/EBITDA

EV/EBITDA
EV/EBITDA

요약

낮으면 저평가 높다면 고평가 EV/EBITDA는 투자한 금액을 버는 데 몇 년이 걸리는지를 나타냅니다. 위의 사진을 예시로 보면 2023년 12월 기준으로 이 기업을 인수했을 때의 금액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9년이 걸린다고 보면 됩니다.

 

EV는 기업의 현재가치이고, EBITDA는 세전 기준 영업현금흐름을 나타냅니다.

예시

EV/EBITDA가 1이면 이 기업을 인수했을 당시의 금액을 회수하기 위해서는 1년이 걸립니다. 수치가 높다면 고평가 낮다면 저평가 됐다고 보시면 됩니다.

결론

낮으면 저평가 높다면 고평가

PBR

PBR
PBR

요약

낮으면 저평가 높으면 고평가 PBR이 1이면 주가와 기업의 청산 가치가 같다는 뜻이고, 1 이하면 주가가 청산가치에도 못 미칠 만큼 낮다는 뜻입니다.

예시

내 기업의 가치가 1,000원인데 이 기업을 팔 때 1,000원을 못 받으면 저평가된 것이고, 1,000원 보다 높게 받는다면 고평가 됐다고 보시면 됩니다.

결론

낮으면 저평가 높으면 고평가입니다.

 

정리

ROE는 높고 PER, EV/EBITDA, PBR은 낮으면 좋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