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A계좌를 알게 된 것이 ETF 투자하기 위해 공부하던 중에 절세혜택을 볼 수 있다는 말에 알아보게 되었습니다.
계좌에 대한 정의와 왜 개설해야 하는지 단점은 없는지 같이 확인해보시고 나에 상황에 맞춰 개설 후에 투자하시기 바랍니다.
ISA 계좌란 무엇인가?
절세혜택을 볼 수 있는 계좌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ISA는 하나의 계좌로 펀드와 주식, 예적금, ETF(상장지수펀드), ELS(주가연계증권)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운용하고 세제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자산관리계좌입니다.
ISA 계좌를 왜 개설해야 되는 거지?
1. 세금 혜택입니다. ISA 계좌의 투자기간 동안 발생한 순이익 200만원까지(서민형 400만원)까지 비과세이며, 초과 금액에 대해서만 세금을 징수합니다.
세율이 10%라면 일반계좌와 ISA계좌의 세금은 20만원 차이인 것입니다. 순이익이 커지면 커질수록 차이는 더욱 커지는 것이니 꼭 혜택을 받아야 할 것입니다.
비과세 한도는 연간이 아니라 가입 기간동안입니다. 비과세 한도를 다 채웠다면 계좌를 해지하고 다시 가입해야 비과세도 다시 적용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의무 가입기간이 지났다면 계좌를 해지하고 다시 가입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2. 분리과세가 된다는 것입니다. 이자 소득이 연 2,000만원이 넘어가면 근로소득이나 사업소득에 합산되어 더 많은 세금을 내야 할 수 있습니다. 이것을 '금융소득 종합과세'라고 하는데요.
ISA계좌에서 발생한 이자와 배당 소득의 경우 이 금융소득 종합과세에서 제외되기 때문에 절세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분리과세 세율도 14%에서 9%로 더 낮은 세율이 적용됩니다.
3.이익과 손실을 통산합니다. 펀드를 가입했는데 500만원을 손실보고 이자를 100만원 받았다면 모든 금융소득을 통합해서 순속익에 대해서만 세금을 과세하기 때문에 이 경우 이자에 대해 세금이 과세되지 않습니다.
ISA 계좌의 단점은 없는 것인가?
1. 의무가입기간 3년입니다. ISA계좌의 가장 큰 단점은 의무가입 기간이 있다는 것입니다. 비과세 및 분리과세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가입 기간 최소 3년 동안 계좌를 유지하여야 합니다. 그 전에 해지하게 되면 기존에 받은 세제 혜택을 전부 다 반납해야 합니다.
2. 국내 상장 주식만 투자 가능합니다. 미국 등 해외 주식을 직접 투자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이에 대안으로 국내 상장된 다양한 미국 ETF 상품 등 지수에는 투자가 가능하다는 점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개념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직연금제도 DB DC IRP 부장님 보다 퇴직금 많이 받는 방법 (0) | 2024.03.01 |
---|---|
연금저축 장단점 3가지로 핵심정리 (0) | 2024.02.10 |
인덱스 펀드와 ETF 3가지로 정리해드립니다. (0) | 2024.0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