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념정리

연금저축 장단점 3가지로 핵심정리

by 경제를 알자 2024. 2. 10.
반응형

연금저축 장단점
연금저축 장단점

 

연금저축에 대해서 소개해드립니다. 연말정산 때문에 요즘 세금에 대해서 관심이 많아졌는데요. 누군가에게는 또 하나의 월급이지만 누군가에게는 세금 폭탄이 되기도 하는 것 같습니다.

 

연말정산 시 세제혜택을 주던 다양한 금융상품의 가입기한이 종료되면서 세금을 줄일 기회가 많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대부분의 소득공제 항목들이 세액공제 항목으로 바뀌면서 고소득자들의 절세효과가 줄어들었는데요.

 

제가 이번에 알게 된 상품은 연금계좌입니다. 이런 상품에 투자하면 연말정산 할 때 꽤 많은 액수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정의와 장단점 꼭 확인하시고 혜택 받아보시길 바랍니다. 

 

연금저축은 무엇인가?

세제혜택을 주는 상품입니다. 대표적인 노후 대비 상품이기도 하고요. 은행, 보험사, 증권사에서 가입할 수 있습니다. 최소 5년 이상 납입하고 만 55세 이후부터 연금으로 받을 수 있는데요.

 

세액 공제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 연금을 수령할 때 연령별로 정해진 연금소득세를 내야 해요.

 

연금저축의 장점은?

1. 세액공제혜택 연금저축에 넣은 돈을 합쳐서 16.5%를 세액공제해 주는데요. 최대 1년에 넣을 수 있는 한도인 600만 원을 다 넣었다면 여기서 16.5%를 곱한 게 99만 원입니다. 

 

600만 원은 한 번에 넣어도 되고, 매달 나눠서 내도 됩니다. 

기준 공제율 세액공제액
총 급여 5,500만원
(근로소득만 있는 경우)
또는 종합소득금액 4,500만원
이하 16.5% 최대 990,000원
초과 13.2% 최대 792,000원

 

2. ETF 투자 가능 투자에 관한 규제가 없습니다. 주식, 펀드, ETF 등 위험자산에 적립금 전액을 투자할 수도 있습니다. 단, 그만큼 원금 손실 가능성도 있습니다. 투자성향이 공격적인 사람에게 유리한 조건입니다.

 

참고로 S&P500을 추종하는 대표적인 ETF인 'SPY'의 최근 20년간 차트를 보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2015년 중국 증시 난항, 2018 미국 중국 무역 갈등 및 금리 인상을 제외하고는 매해 성장했습니다.

 

매력적인 ETF를 찾았다면 노후자금으로 ETF에 투자하는 방식도 좋을 것 같습니다.

 

연금저축의 단점은?

1. 돈이 연금에 묶여있습니다. 그렇기에 자금의 융통에 대해서 잘 생각해 보시고 가입하셔야 합니다. 오랜 기간 동안 돈이 묶이는 연금저축 상품은 유동성이 안 좋기 때문에 신중한 고려가 필요합니다.

 

2. 해외상장한 ETF는 투자 불가능 해외에 상장한 ETF에는 투자할 수 없습니다. 대신 국내에 상장된 해외 ETF 상품에는 가입하실 수 있습니다.

 

용어정리

  • 세액공제 : 세금을 줄여주는 거예요. '소득공제'가 세금을 매길 소득을 줄이는 것이라면 세액공제는 이미 산출한 세액을 줄여주는 것입니다.

 

 

반응형